목차 HTMX란? HTMX의 설치 및 설정 HTMX 활용 사례 HTMX의 장단점 HTMX란? HTMX의 정의 HTMX는 HTML을 기반으로 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이 라이브러리는 서버 측에서 주어진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TMX는 AJAX, CSS 및 HTML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매끄럽고 직관적으로 만들어준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복잡한 JavaScript 코드 […]
목차 Tree Shaking이란? Tree Shaking의 원리 Tree Shaking을 지원하는 도구 Tree Shaking의 장점과 단점 Tree Shaking이란? 정의 Tree Shaking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코드 최적화 기법 중 하나로,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제거하여 최종 번들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기법은 주로 JavaScript 모듈 시스템에서 활용되며, 필요하지 않은 코드가 최종 배포물에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Tree Shaking은 […]
목차 Hot Reloading이란? Hot Reloading의 작동 원리 Hot Reloading 도구 및 라이브러리 Hot Reloading의 장단점 Hot Reloading과 다른 개발 기법 비교 Hot Reloading 관련 문제 해결 Hot Reloading이란? Hot Reloading의 정의 Hot Reloading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가 수정될 때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변경 사항을 즉시 반영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는 개발자가 […]
목차 Vite란? Vite의 설치 및 설정 Vite의 주요 기능 Vite와 기타 빌드 도구 비교 Vite란? Vite의 정의 Vite는 현대 웹 개발을 위한 툴로, 빠르고 효율적인 빌드 도구이다. Vite는 모듈 기반의 개발 환경을 제공하며,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즉시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핫 모듈 교체(HMR) 기능 덕분으로, 코드 변경 시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
목차 Parcel이란? Parcel의 설치 및 설정 Parcel의 주요 기능 Parcel 사용 사례 및 장점 Parcel이란? Parcel의 정의 Parcel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모듈 번들러이다. 이는 개발자가 작성한 다양한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Parcel은 자동으로 의존성을 분석하고, 필요한 파일을 번들링하며, 최종적으로 최적화된 결과물을 생성한다. Parcel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설정이 거의 필요 없다는 점이다. […]
목차 Sequelize란? Sequelize 설치 및 설정 Sequelize 모델링 Sequelize 쿼리 사용 Sequelize란? Sequelize의 정의 Sequelize는 Node.js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ORM(Object-Relational Mapping) 라이브러리이다. ORM은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객체 지향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Sequelize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특히 SQL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며, PostgreSQL, MySQL, MariaDB, SQLite, Microsoft SQL Server와 같은 여러 데이터베이스와 호환된다. […]
목차 Vuex란? Vuex의 구조 Vuex 설치 및 설정 Vuex의 고급 기능 Vuex란? Vuex의 정의 Vuex는 Vue.j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상태 관리 패턴 및 라이브러리이다. Vuex는 중앙 집중식 저장소를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구성 요소가 이 저장소를 통해 상태를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 흐름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를 추적하기 쉽게 […]
목차 Sass란? Sass의 설치 및 설정 Sass의 주요 기능 Sass와 CSS 비교 Sass란? Sass의 정의 Sass는 스타일시트 작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CSS의 전처리기(preprocessor)이다. 즉, Sass는 CSS를 보다 체계적이고 관리하기 쉽게 만들기 위한 도구로, 스타일시트의 작성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Sass는 ‘Syntactically Awesome Style Sheets’의 약자로, CSS의 문법을 확장하여 다양한 프로그래밍적 요소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