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문의 아이콘상세문의
간편문의 아이콘간편문의
빠른 상담 신청

간편하게 문의하여 빠르게 상담받아보세요!

자세히 보기

닫기 아이콘

개인정보처리방침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주)넥스트티>(‘www.next-t,co,kr’이하 ‘넥스트티’) 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하지 않습니다.
– 고객 가입의사 확인, 고객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물품 또는 서비스 공급에 따른 금액 결제, 물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배송 등

2.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넥스트티’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구체적인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객 문의 관리 : 문의페이지를 통한 고객 정보 관리
– 보유 기간 : 3년

3. 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이용자는 개인정보주체로써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정보주체는 ‘넥스트티’ 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2. 삭제요구

4.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작성

‘넥스트티’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넥스트티’에서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넥스트티’ 고객 문의 시, 제공 동의를 해주시는 개인정보 수집 항목입니다.

■ 회원 가입 시(회원)
– 필수항목 :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 선택항목 : 문의 선택 항목
– 수집목적 : 넥스트티 문의 정보 확인 이용
– 보유기간 : 고객 의뢰 및 3년 이후 지체없이 파기

5. 개인정보의 파기

‘넥스트티’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파기의 절차,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목적 달성 후 별도의 DB에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기간 저장된 후 혹은 즉시 파기됩니다. 이 때, DB로 옮겨진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파기기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넥스트티’는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s)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작성

‘넥스트티’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홍은표
직책 : 대표
직급 : CEO
연락처 : 02-6925-2203, silverti@next-t.co.kr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개발팀
담당자 : 정주
연락처 : 02-6925-2203, ohhahoho@next-t.co.kr

‘넥스트티’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넥스트티’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8.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9.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넥스트티’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관리적 및 물리적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직원을 지정하고 담당자에 한정시켜 최소화 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넥스트티’는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및 훼손을 막기 위하여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을 하며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의 암호화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비밀번호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되고 있어, 본인만이 알 수 있으며 중요한 데이터는 파일 및 전송 데이터를 암호화 하거나 파일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등의 별도 보안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을 최소 6개월 이상 보관, 관리하고 있으며,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변경,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으며 침입차단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접근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10. 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아래의 기관은 (주)넥스트티 와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넥스트티’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화 : (국번없이) 118
– 주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조정신청, 집단분쟁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www.kopico.go.kr
– 전화 : (국번없이) 1833-6972
– 주소 : (0317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 02-3480-3573 (www.spo.go.kr)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182 (http://cyberbureau.police.go.kr)

자동 seo 컨설팅 받으러가기

프로그래밍

데노 (Deno)


목차 데노(Deno)란? 데노의 주요 기능 데노 설치 및 설정 데노 프로젝트 개발 데노(Deno)란? 데노의 정의 데노(Deno)는 현대적인 서버 측 JavaScript 및 TypeScript 런타임 환경으로, 구글의 V8 JavaScript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Node.js의 창시자인 라이언 달(Ryan Dahl)이 설계하였으며,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Deno는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때 사용되는 도구로, JavaScript […]

호노 (Hono)


목차 호노(Hono)란? 호노의 주요 기능 호노를 활용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호노와 다른 프레임워크 비교 호노(Hono)란? 호노의 정의 호노(Hono)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경량화된 프레임워크이다. Node.js 환경에서 실행되며, 빠른 성능과 간결한 API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개발자는 호노를 사용하여 RESTful API 및 웹 서버를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호노는 라우팅, 미들웨어 지원, HTTP 요청 처리 기능을 […]

Cloudflare Workers


목차 Cloudflare Workers란? Cloudflare Workers 사용 사례 Cloudflare Workers 개발 및 배포 Cloudflare Workers 성능 최적화 Cloudflare Workers란? Cloudflare Workers 개요 Cloudflare Workers는 서버리스 컴퓨팅 플랫폼으로, 개발자가 JavaScript로 코드를 작성하여 전 세계 Cloudflare의 엣지 네트워크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지연 시간을 줄이며,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응답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Cloudflare […]

JSON


목차 JSON이란? JSON의 구조 JSON의 사용 사례 JSON과 다른 데이터 형식 비교 JSON이란? JSON의 정의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로 인간이 읽기 쉬운 텍스트 형식으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JSON은 객체와 배열을 통해 데이터를 표현하며, 키-값 쌍의 형식으로 […]

Web Workers


목차 Web Workers란? Web Workers의 작동 원리 Web Workers의 종류 Web Workers 사용 사례 Web Workers란? Web Workers의 정의 Web Workers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멀티스레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는 웹 페이지의 메인 스레드와 별도로 실행되는 스레드를 제공하여, CPU 집약적인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반응성을 유지하면서 복잡한 계산이나 데이터 처리 작업을 […]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목차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이란?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의 작동 원리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과 서버 사이드 렌더링 비교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도구 및 프레임워크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이란? 정의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은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의 콘텐츠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직접 생성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서버에서 HTML 페이지를 미리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측에서 JavaScript를 […]

Babel


목차 Babel이란? Babel의 설치 및 설정 Babel의 주요 기능 Babel의 활용 사례 Babel이란? Babel의 정의 Babel은 최신 JavaScript 문법과 기능을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해주는 도구이다. 이는 JavaScript의 코드가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Babel은 ES6(ECMAScript 2015) 및 그 이후의 버전에서 도입된 새로운 문법을 지원하며, 구형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사용자는 […]

Mongoose


목차 Mongoose란? Mongoose 설치 및 설정 Mongoose의 데이터 모델링 Mongoose 쿼리 및 데이터 조작 Mongoose란? Mongoose의 개요 Mongoose는 MongoDB와 Node.js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상호작용을 위한 ODM(Object Data Modeling) 라이브러리이다. Mongoose를 사용하면 MongoDB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데이터 모델링과 유효성 검사, 쿼리 작성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라이브러리는 스키마 기반의 솔루션을 […]

RxJS


목차 RxJS란? RxJS의 주요 기능 RxJS의 사용 사례 RxJS와 다른 라이브러리의 비교 RxJS란? RxJS의 정의 RxJS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비동기 데이터 흐름을 처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RxJS는 Observables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비동기 스트림을 생성하고 다룰 수 있다. 이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하여 데이터를 필터링, 변형 및 결합하는 등의 작업을 쉽게 수행할 […]

Recoil


목차 Recoil이란? Recoil의 기본 개념 Recoil 사용 방법 Recoil의 장단점 Recoil과 다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비교 Recoil이란? Recoil의 정의 Recoil은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 관리 솔루션으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이다. 이 라이브러리는 상태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React의 컴포넌트 간에 상태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Recoil은 주로 상태의 독립성과 재사용성을 강조하며, 복잡한 상태 관리 문제를 […]

Vuex


목차 Vuex란? Vuex의 구조 Vuex 설치 및 설정 Vuex의 고급 기능 Vuex란? Vuex의 정의 Vuex는 Vue.j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상태 관리 패턴 및 라이브러리이다. Vuex는 중앙 집중식 저장소를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구성 요소가 이 저장소를 통해 상태를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 흐름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를 추적하기 쉽게 […]

WebSocket


목차 WebSocket이란? WebSocket의 주요 특징 WebSocket 사용 사례 WebSocket 구현 방법 WebSocket이란? WebSocket의 정의 WebSocket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의 지속적인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는 HTTP와는 달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유지하며, 데이터 전송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WebSocket은 2011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RFC 6455로 표준화되었으며,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기능을 구현하는 […]

REST API


목차 REST API란? REST API의 구조 REST API 구현 방법 REST API 활용 사례 REST API란? REST의 개념 REST API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웹에서 자원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자원(resource)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식별된다. REST의 주요 원칙은 무상태성(stateless)과 캐시 가능성(caching)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이 각 요청에 대해 […]

Pug


목차 Pug이란? Pug 문법 Pug 사용 방법 Pug의 장점과 단점 Pug이란? Pug의 개요 Pug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템플릿 엔진으로, HTML을 보다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다. Pug는 주로 Node.js 환경에서 사용되며, HTML 문서를 작성할 때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중복을 줄이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Pug는 들여쓰기 기반의 문법을 사용하여 HTML 태그를 표현하며, 이는 코드의 구조를 […]

Less


목차 Less란? Less 설치 및 설정 Less 문법과 기능 Less의 활용 사례 Less란? Less의 정의 Less는 CSS(Cascading Style Sheets)의 전처리기로, CSS를 보다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Less를 사용하면 변수, 믹스인, 중첩 규칙 등의 기능을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Less는 CSS의 […]

TypeScript


목차 TypeScript란? TypeScript의 장점 TypeScript의 설치 및 설정 TypeScript의 기본 문법 TypeScript란? TypeScript의 정의 TypeScript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는 자바스크립트의 상위 집합으로,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면서 추가적인 정적 타입을 제공한다. TypeScript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지원하며,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한 도구로 자리잡았다. TypeScript는 자바스크립트의 문법을 확장하여 정적 타입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코드 작성 시 개발자가 […]